*출처:다음카페-삼태극 글쓴이: 소서노 http://cafe.daum.net/mookto/GbA8/92
7세기 티벳의 토번제국은 당나라 수도 장안을 점령하고, 당왕 세민이를 굴복시키고 그 딸을 조공물로 받아 갔다.
설인귀도 이 전쟁에서 패해 평민으로 강등되어 말년을 초라하게 보내다 죽었다. 이때 신라와 당이 전쟁을 하고 있었는데, 티벳한겨레 토번제국의 기마군단이 당나라를 제압해 줌으으로써 당나라는 신라에 병력추가 투입할 여력이 사라졌고, 결국 신라가 당나라군대를 물리칠 수 있었다.
중공 차이나족을 분열시켜 힘을 못쓰게하고 박멸하는 길은 중공 주변국과 힘을 합쳐 사방에서 괴롭힐 때 가능하다는 것이 역사적으로 증명되는 사례이다.
아래 기사는 원나라 청나라까지 언급하며 그 역사가 자기네 것이라고 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티벳이 자기네 것이라고 주장한다.
역사학자들이 보는 티베트 봉기 "강제합병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봐야"한국일보 | 입력 2009.03.11 03:09
1959년 3월 10일 중국 지배 하에 있던 티베트인 280만명이 주권회복을 위해 봉기했다. 그러나 50년이 지난 지금도 티베트의 주권회복과 양측의 역사적 관계에 대한 상충된 해석은 결론 없는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소개하면서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로버트 버넷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티베트가 중국의 일부라는 사실을 달라이 라마가 인정했지만 중국은 그의 발언에 신빙성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이는 국제법 상 티베트가 언제든 독립을 요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중국 정부가 인식하고 있으며 지난해 유혈사태에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일부였다고 주장하면서 특히 청나라 때 작성한 '티베트 관리를 위한 29개 규율'등을 근거로 제시한 다"며 "그러나 장제스(蔣介石) 국민당 정부 당시 티베트는 사실상 자치주권을 가진 변방이었고 1950년 10월 21일 마오쩌둥(毛澤東)의 공산군이 강점하고서야 티베트는 중국의 일부가 됐다"고 지적했다. 결국 티베트의 봉기는 강제합병에 대한 저항운동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티베트가 중국의 국토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했다. 새로운 역사를 시작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중국 정부에는 철권 통치보다는 티베트의 전통과 문화를 끌어안는 통합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최초의 나라 한(환)국 >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공 분열조짐인가, 다시 춘추전국시대 도래? (0) | 2009.05.07 |
---|---|
차이나 중공군의 한반도 무력점령 계획 (0) | 2009.05.07 |
반도조선사 이렇게 만들어 졌다 (0) | 2009.05.02 |
반민족적 동북아역사재단을 해체하라. (0) | 2009.05.01 |
왜 한민족인가? (0) | 200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