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플러스 코리아 글쓴이-성훈 | |||||||||||||||||||||||||||||||||
북부여는 단군조선을 계승했고, 위만은 번조선을 무너뜨렸을 뿐이다. | |||||||||||||||||||||||||||||||||
단제께서 직접 다스렸고 마한과 번한은 왕을 임명해 다스렸다. 되어 6대를 내려가다 마지막 왕 기준 때 위만이 쳐들어와서 번조선의 도읍을 점령하게 된다. 기준은 도읍을 위만에게 빼앗기자 번조선의 남쪽(산동성과 강소성의 海 지방)으로 내려가 한(韓)을 세운다. 그래서 실제 왕위에 있지도 않았던 기자 이하 35명의 기씨 조상들이 추존왕이 된다. 참고로 마지막 6대는 실제로 번조선에서 왕 노릇을 했다. 계승한 국가로 만들었다. 즉 47분의 단군에 의해 2,096년간 다스려졌던 단군조선을 반토막낸 것이었다. 그런 기자조선이 위만에게 멸망하여 위만조선이 섰고 그 위만조선이 한사군(漢四郡)으로 바뀌었고 그 위치가대동강 평양이라는 것이 이 나라의 정신을 썩게 한 조선왕조와 일제의 이론이었다.
사대모화사상에 오염되어 단군조선을 계승한 북부여의 역사를 부정하고 있다. 과연 그럴까? 그럼 북부여는 어떤 과정을 거쳐 단군조선을 계승하게 되는지, 또 북부여에는 어떤 쿠데타가 일어났는지 알아보기로 하겠다. 참고로 단군조선의 폐국(閉國) 1년 전인 B.C 239년 해모수에 의해 북부여가 생긴다. 쉽사리 난리를 피웠기 때문에 나라의 살림은 시행되지 않고 백성의 사기는 날로 떨어졌다.
3월 마침내 오가들과 의논하여 말씀하기를 이제 왕도는 쇄미하고 여러 왕들이 힘을 다투고 있도다. 짐은 덕 없고 겁 많아 능히 다스리지 못하니 어진 이를 불러서 무마시킬 방책도 없고 백성들도 흩어지니 생각하건데 그대들 오가 (五加)는 어질고 좋은 사람을 찾아 추대하도록 하라.” 계속하였다. 참고로 단군조선의 폐국 1년 전인 B.C 239년 해모수는 몰래 수유(기비)와 약속하고 옛 도읍인 백악산을 점령하고는 천왕랑(天王郞) 이라 칭했으며, 기비를 번조선 왕으로 삼고 상하의 운장을 지키게 하였다. 해모수가 능히 대권을 쥐게 된 것은 아마 기비 때문일 것이다. B.C 232년 해모수는 마침내 오가들을 회유하여 마침내 6년간의 공화(共和)의 정치를 철폐하게 되었다. 이에 만백성이 추대하여 단군이 되었다.”고 <한단고기 북부여기>에 기록되어 있다. 단군으로 봐야 할지 그건 독자의 판단에 맡긴다. 그런데 고열가단군이 물러나기 전인 B.C 239년 해모수가 몰래 수유와 약속하고는 백악산을 점령하고 천왕랑(天王郞)이라 칭했고, 기비를 번조선 왕으로 삼은 것은 분명 일종의 쿠데타적 사건이 아닌가 한다. 보아서는, 비록 해모수가 단군조선의 일부 지역에서 군사를 일으키긴 했어도 6년간이나 5가가 공화정치를 하는 등 상당히 민주적으로 진조선이 운영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에 만백성이 추대하여 단군이 되었다. 이 과정을 액면 그대로 회유로 봐야 하는지 무력시위를 앞세운 강압으로 정권을 뺏은 것으로 봐야 하는지는 역시 독자의 판단에 맡기겠다. 여하튼 해모수의 등장은 단군조선을 계승하는 북부여의 시작이었다. 비록 국호는 조선에서 북부여로 바뀌었지만 단군이란 제호(帝號)는 그대로 썼다.
“고구려는 해모수의 태어난 고향이기 때문에 역시 고구려라 칭한다 했다.”고 <한단고기 북부여기>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우리는 고구려라는 국호는 해모수의 고향 지명에서 기인되었음을 알게 된다. B.C 195년 연나라 출신 위만이 북부여의 해모수단군에게 망명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한다. 그런데 번조선 왕 기준이 실수하여 위만을 박사로 받아들이고 상하 운장을 떼어서 봉지로 준다. 그 이유는 단군조선--> 북부여--> 고구려로 이어지는 정통성을 끊기 위함일 것이다. 단군조선을 반토막내고 또 적장자인 북부여를 우리 역사에서 지우고, 대신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을 등장시킴으로서 조선왕조는 고구려를 단군조선과는 아무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단칸 셋방에서 시작된 초라한 나라로 만들어 버렸다. 개인회사라면, 어떻게 그 짧은 시간에 동북아 최대의 재벌이 될 수 있었겠는가! 이것이 고구려가 북부여를 계승했다는 증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出自北夫餘天帝之子) ”라는 문구가 있다. 여기서 하늘의 임금인 천제는 누구인가? 그것은 바로 북부여의 단제인 것이다. 이러한 북부여를 역사에서 지워버린 조선왕조와 식민사학계는 민족의 역사 앞에 오강들고 벌서고 반성문을 써야한다.
산동성의 ‘海’라는 지방)로 들어가고, 3세 고해사단군 42년 B.C 128년에 위만의 도적떼를 남여성에서 쳐부수고 관리를 두었다. 북부여의 군대가 크게 패하여 해성 이북 50리의 땅이 모조리 우거의 땅이 되었다 한다. 결국 B.C 108년 한나라가 우거를 멸망시키더니 4군을 두고자하여 사방으로 병력을 침략시켰다“고 기록되어 있다. 기준은 엄연히 번조선의 왕이라 부르고 있다. 그리고 북부여는 위만/우거와 전쟁을 벌이기도 하는데, 북부여는 위만을 도적집단으로 불러 ‘토벌’과 ‘침략’이란 용어를 쓴다.
마지막 왕이라 부르며 위만조선을 한껏 추켜세우고 있다. 한국 사학계의 간판이라 할 수 있는 ‘동북아역사재단’에서도 아래와 같이 홈피를 통해 위만조선을 찬양하고 있다. 이래가지고서야동북공정에 제대로 대응이나 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안 될 수가 없다. 고조선의 정통성을 계승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였고 나중에는 중국 망명인 출신들 또한 고조선인으로서 완전히 토착화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정권을 빼앗긴 준왕은 뱃길로 서해안 일대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한왕(韓王)이 되었다. 소국들을 복속시켜 점차 강국으로 부상하였다. 위만조선의 성장은 당시 북방의 강자인 흉노와 대치 국면에 놓여져 있던 한나라로 하여금 불안감을 야기시켰고, 결국 기원전 109년 두 나라 사이에 전면전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것도 내분을 유도하여 겨우 승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얼마나 강성하였는지를짐작할 수 있다.“ (인용 끝) 위만과 우거가 그 짧은 기간 동안 나라의 체제나 제대로 잡을 수 있었겠는가? 그러한 위만조선이 ‘한나라와의 교역으로 실력을 배양했고, 이렇게 축적된 군사력과 경제적 능력으로 임둔과 진번 같은 소국들을 복속시켜 점차 강국으로 부상하였다’는 동북아역사재단의 광고의 말을 믿어야할지.... 이건 뭔가 대단히 잘못된 것 아니겠는가? 반도사관을 고수하고 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강단사학계는 아직도 일본천황을 섬기는 일제치하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민족사학계는 <한단고기>를 인용해 북부여가 단군조선의 정통성을 계승했다고 말하고 있다. 누가 옳을까???
졸본에서 동명국을 세우고 즉위한다. 한나라가 4군을 세우고저 사방에서 침략함에 의병을 일으켜 가는 곳마다 한나라 침략군을 연파하였다. 이에 그 지방 백성들 모두가 사방에서 일어나 호응함으로써 싸우는 군사를 도와서 크게 떨쳐 보답하였다. “나는 천제의 아들인데 장차 이곳에 도읍을 정하고자 하니 왕은 여기서 옮겨 가시오”라 하니 고우루단제가 매우 곤란해 했다. 마침내 걱정으로 병을 얻어 붕어했다. 동생인 해부루가 이어 즉위하였는데 고두막한은 여전히 군대를 앞세워 이를 위협하기를 끊이지 않으매 군신이 매우 이를 어렵게 여겼다. 옮기게 하고는 수만 군중을 이끌고 도성에 들어와 북부여라 칭하였다. 마침내 해부루왕은 도성을 옮겼다. 이를 가섭원부여 또는 동부여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하나 있다. 고두막한은 다음 왕위 계승권자인 해부루를 분릉으로 옮기고는 도성에 들어와국호를 쓰는데, 왜 그는 종전에 쓰던 ‘동명국’을 버리고 ‘북부여’라 칭했을까? 만일 북부여가 단군조선을 계승하지 않았다면, 고두막한이 굳이 해부루를 쫓아내고 자기가 쓰던 국호(동명국)까지 버리면서까지 북부여란 국호 사용에 집착을 했겠는가? <한단고기 북부여기>에는 고두막의 재위기간이 이원화 되어 있다. 재위(在位) 22년은 고두막한이 동명국의 왕으로 있었던 기간이고, 재제위(在帝位) 27년은 고두막한이 북부여의 단제였던 기간이다. B.C 58년 고무서단군이 재위 2년 만에 붕어하면서 사위였던 고주몽더러 대통을 이으라고 유언하여 23세의 나이에 즉위하게 된다. 이 분이 바로 북부여의 7대 단군이 되시는 고추모(주몽)이다. 그리고는 북부여는 고주몽에 의해 고구려로 연결된다. 역사가 이러함에도 이 나라 식민사학계는 이러한 북부여의 역사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북부여의 역사를 지워버린 식민사학자들은 단군을 신화로 만든 일제와 같은 종자가 아니겠는가!!!
유고집인 <고구려 사초.략>에는 고구려의 건국을 B.C 37년으로 적고 있다. 그러나 두 종의 사서가 고구려의 건국년도를 서로 다르게 적었다고 해서 한 사서가 위서라고 함부로 말하면 안된다고 본다. 따라서 한 사서는 고주몽이 북부여의 7대 단제로 등극한 B.C 58년을 고구려의 건국으로 본 것이고, 한 사서는 북부여에서 국호를 고구려로 바꾼 년도인 B.C 37년을 고구려의 건국년도로 보고 있는 차이일 뿐이다. 즉 견해의 차이일 뿐이다. 단군의 옛 법을 되찾고 해모수를 제사하여 태조로 삼고 처음으로 년호를 정하여 다물(多勿)이라하니 바로 고구려의 시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한단고기>는 고구려 황제들의 연호를 몇 개 언급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고주몽 성제(聖帝)가 사용한 ‘다물’이라는 년호이다. (고구려 황제들의 자체연호 사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종합해서 별도의 글을 올리기로 한다.) 추모대제(芻牟大帝)라 쓰며 년호를 동명(東明)이라 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고구려는 자체 년호를 사용한 어엿한 황제국이었음이 밝혀졌다. 황명(皇名)이 아니라 자체 년호였음이 남당 박창화 유고집인 <고구려 사초.략>에 의해 밝혀진다. 년호를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부식(또는 아마 조선왕조?)이 왕명을 기막히게 작명해 고구려가 자체 년호를 사용했다는 사실을 교묘하게 숨긴 것으로 보인다.
있다. 그러나 그러던 것이 고구려로 넘어오면서부터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부여를 세워 39년간 통치한다. <한단고기>에는 이어 2세 금와(41년)--> 3세 대소(28년)까지만 기록되어 있다. 대소왕은 A.D 22년 고구려와의 전투에서 고구려의 장수 괴유(怪由)에게 죽음을 당한다. 그리고 대소왕의 전사에도 불구하고 동부여는 당시 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한단고기>는 동부여의멸망에 대해 자세한 언급이 없고, <삼국사기>는 동부여가 대소가 전사한 해와 같은 해 결국 항복한 것으로 적어 놓았으나 그 이후에도 부여 관련 기록이 몇 개 있어 그 기록이 이상해 보인다. 광명대제 33년 (A.D 14년) 대불이 ‘대소’를 죽이고 보위에섰다. 즉 쿠데타를 일으켜 왕을 시해하고 정권을 잡은 것으로 봐야 한다. 대불은 A.D 32년 전쟁 중에 전사하고 이어 여왕 고야가 통치하다,
A.D 51년 고구려 대무신왕 때 평정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있다고 적어 놓았다. 대소왕의 동생은 “갈사(曷思)‘라는 나라를 세우나 3세 47년 만에 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갈사라는 나라는 동부여에서 갈라져 나간 지류(支流)로 봐야 한다.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한단고기>의 내용대로 “B.C 58년 주몽이 북부여의 7대 단군이 되고 국호를 고구려로 바꿨다.”는 기록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유리명왕 29년(A.D 10년) 모천에서 검은 개구리가 붉은 개구리와더불어 떼지어 싸워 검은 개구리가 이기지 못하고 죽으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검은 색은 북방의 빛이니 북부여(北夫餘)가 파멸될 징조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부여라고 언급하면서 북부여 이야기는 전혀 없고 동부여 이야기만 적고 있다. 그러다가 느닷없이 북부여가 튀어 나온다. 이 기록은 사관(史官)들이 분명 북부여라는 나라가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하겠다. 그리고 북부여와 고구려가 전쟁을 한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유리왕 29년의 <삼국사기> 기록은 누군가가 확실히 조작한 기록으로 보인다. 또는 부여(동부여)의 북쪽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한다. 때문이지 다른 이유가 있을 수가 없다. 즉 고구려와 북부여는 같은 나라로 서로 공존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하겠다. 따라서 <한단고기>의 B.C 58년 고구려 건국 기록은 실제로 있었던 역사적 사실이라 하겠다. 언제까지 그런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할지 두고 보기로 한다. 본 글은 북부여와 관계된 글이기에 <한단고기>의 일부인 <북부여기>가 과연 위서인지 알아보기로 하겠다. (范樟)이라고도 한다. 범세동선생은 금성 범씨 대동보에 의하여 실존인물임이 증빙되었고,대동보에 “북부여기 약초(略抄)”가 기록되어 있어 북부여기 실존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선조가 금성인(錦城人)으로 본관은 금성이다. 통찬(通贊) 후춘(後春)의 아들이며 정몽주의 제자로 고려 말기의 대학자이다. <한단고기>에 합본된 <북부여기 상, 하>와 <가섭원부여기>를 편찬하였고, 화동인물총기(話東人物叢記), 편집화해사전(編輯華海師 全)을 편찬하였다. 덕녕부윤(德寧府尹)에 이어 낭사(郎舍)의 책임자인 간의대부(諫義大夫)를 역임하였으며, 사후에 후덕군(厚德君)에 봉해지고 문충 (文忠)의 시호를 받았으며 개성의 표절사(表節祠), 두문동서원(杜門洞書院), 광주의 복룡사(伏龍祠)에 제향되었다. 일찍이 퇴계 이황 선생이 “국가만세에 마땅히 범세동 선생과 운곡 선생의 말을 쫓아야 한다”고 말할 정도로 당대의 대석학이었다. 기거할 즈음에 한 거사가 있었는데 이름이 소전(素佺)이었다. 그는 많은 기이한 옛 서적을 많이 소장하고 있었으며, 이명(李茗), 범장(范樟)과 더불어 같이 신서(神書)를 얻게 되었는데 모두 옛 한단시대(桓檀時代)로부터 전수된 진결(眞訣)이다. 를 함부로 위서라고 말하는가!!! 금성 범씨 대종회에 가서 이 사실을 확인해 보고,만일 그 앞에서 <한단고기> 위서 운운했다가는 뼈도 못 추리고 살아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한단고기> 위서 운운하면 거기서도 몰매 맞아 죽을 것이다.
|
'최초의 나라 한(환)국 > 고조선(한단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단군] 관련기록-첫번째-두번째-세번째 (0) | 2009.05.19 |
---|---|
요동과 요서를 구분하는 기준은 어디인가? (0) | 2009.05.18 |
천부경(天符經), 81字 속에 숨겨져온 진실 (0) | 2009.05.02 |
단군조선(壇君朝鮮)의 역사(歷史)-이중재/박민우 (0) | 2009.05.01 |
단군신화 탄생지 고찰 (0) | 2009.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