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30

[스크랩] 코리안루트 (15) 紅山,·良猪문화 중원을 향해 달리다

“헌원(황제)의 시대에 신농씨의 세력이 쇠약해지는 시기였다. ~헌원이 곰(熊), 큰 곰, 비·휴·범과 비슷한 동물. 비는 수컷, 휴는 암컷), 추(·큰 살쾡이), 호랑이(虎) 등 사나운 짐승들을 길들여 판천(阪泉)의 들에서 염제와 싸웠는데 여러 번 싸운 끝에 뜻을 이뤘다.” “치우가 또다시 ..

[스크랩] 코리안루트 (13) 紅山人의 어머니

“이제 우리 여신(女神)님 보러 가야지.” 7월30일. 뉴허량(우하량·牛河梁) 적석총 및 제단(제2지점)을 탐사하던 이형구 선문대 교수가 농을 건다. 여신묘(뉴허량 제1지점)를 ‘친견’할 시간이다. 유적 바로 곁을 지나는 베이징~차오양 간 공도(公道)를 무단횡단해서 북쪽 산길로 향했다. ..

[스크랩] 코리안루트 (10) 遼河 서쪽의 積石塚들

“돌무덤이 고인돌로 발전했을 것” 혹 맹목적인 순혈·민족주의에 사로잡혀 ‘우리 것’에만 집착하는 것이 아닐까.아니다. 우리 문화의 원류와 정체성을 찾는 것이 단순한 피가름이 아니다. 한민족이 단일민족이 아니라 다종족 으로 이뤄졌다면 그 여러 종족이 힘을 모아 이뤄낸 역사..

[스크랩] 코리안루트 (9) 牛河粱의 적석총들

제단(壇)과 신전(廟), 무덤(적석총), 그리고 옥기(玉器). 흔히 집과 금속, 문자를 문명의 3요소라 하지만 인간의 정신세계와 관련 깊은 제단과 신전, 무덤은 이 3요소를 초월한다. 또한 옥기는 계급·사회분화, 그리고 제정일치 사회의 상징물이다. 바로 발해문명의 뼈대가 된 훙산문화(홍산..

[스크랩] 코리안루트 (8) 草帽山과 홍산문화

제단과 무덤, 여기도 동이의 흔적… “우한치 쓰자쯔(四家子) 차오마오산(초모산·草帽山) 유적에서 5500년전 홍산문화 시기의 제단+무덤 결합 형식의 의례(儀禮) 건축물이 발견됐다. 이는 원시종교와 장례풍습, 제사가 있었음을 알려주는 새로운 자료다.” 가장 최근에 확인된 차오마오..

[스크랩] 코리안 루트 (7) 빗살무늬토기의 고향

“이건 빗살무늬 아닌가요? 아! 여기 덧띠무늬(토기)도 있네.” 차하이(사해·査海)와 싱룽와(흥륭와·興隆窪) 마을은 물론 신러(신락·新樂), 뉴허량(우하량·牛河梁) 유적 을 둘러본 기자는 깜짝깜짝 놀랐다. 싼줘뎬(삼좌점·三座店)과 청쯔산(성자산·城子山) 유적에서도 마찬 가지였..

[스크랩] 코리안 루트 (6) 興隆와 新石器 유적-東夷의 發祥

도시처럼 계획된 ‘8000년전 東夷마을’ 7월27일 오후 2시. 중화 제1촌, 아니 동이 제1촌인 차하이 마을을 탐사한 기자일행은 서둘러 행장을 꾸렸다. 차하이(사해·査海) 에서 서쪽으로 200㎞ 떨어진 싱룽와(흥륭와·興隆窪)로 향하는 길이다. 싱룽와는 ‘중화시조취락(中華始祖 聚落)’이라..

[스크랩] 코리안 루트 (5) 선양 新樂유물 權杖의 비밀

용과 새는 동이족 상징 아닐까 ‘사기 고조본기’에 한나라 창업주 고조와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를 전한다. “고조(유방)의 어머니 유오가 연못가에서 잠깐 잠든 사이… 번갯불이 번쩍이더니 갑자기 사방이 어두워 졌다. 이때 아버지 태공이 달려가보니 교룡(蛟龍·큰 물을 일으킨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