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나라 한(환)국/상고사,홍산문화

[스크랩] 치우

설레임의 하루 2011. 2. 26. 13:17

치우

 

 
치우, 한나라 때의 조각


   치우(蚩尤)는 중국의 여러 기록과 전설에서 헌원과 함께 탁록의 전투에서 싸웠다고 전해지는 전쟁의 신 또는 옛 부족의 지도자이다. 먀오족에서는 치우를 선조로 여기며, 한국의 야사에서는 한민족을 이루는 하나의 부족 또는 군주로 보기도 한다.


역사


   치우에 대한 기록은 《사기》〈오제본기〉를 비롯한 중국의 기록으로 전해진다. 치우는 신농의 후예로 황제 헌원과 전쟁을 벌였다. 신농의 치세 말기에 세상이 혼란스러워지자 헌원이 신농을 대신하여 세상을 안정시켰는데, 이때 치우가 가장 포악하여 염제도 손을 대지 못하였다. 헌원이 신농을 대신하여 제후들을 다스리고 세상을 평정하였을 때 치우가 다시 난을 일으키자 헌원은 군대를 일으켜 치우를 탁록(涿鹿)에서 잡아 죽였다고 한다.


   중국의 일부 신화에는 치우에게 81명(또는 72명)의 형제가 있었으며, 여섯 개의 팔과 네 개의 눈, 소의 뿔과 발굽이 있고 머리는 구리와 쇠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처음으로 창과 방패 등의 무기를 사용하였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치우의 부족은 일부가 헌원에 협조했고, 일부는 여족(黎族), 일부는 요족(瑤族)이 되었다고 한다.


기록과 전승의 해석

   치우와 헌원이 전쟁을 벌였던 사실은 흔히 '황제 신화'라고 부르며 이러한 신화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많은 의견이 존재하였다. 치우가 이끌었던 구려족(九黎族)은 먀오족의 조상이라고 하며 양쯔 강 유역에 거주하였다고 한다. 대체로 치우로 상징되는 양쯔 강 유역의 남방 부족과 황제로 상징되는 황하 유역의 한족이 전쟁을 벌였던 것으로 보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였다.


   청나라 말기의 강유위, 고힐강 등의 의고학파(疑古學派)는 황제 신화를 비롯한 삼황오제의 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역사성을 부인하고 전국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에 걸쳐 종교적 영향으로 꾸며진 신화로 판정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국의 학계는 국가의 개입 아래 한족 중심의 민족주의적인 영향으로 황제 신화를 한족의 국조 설화로 중요시 여기면서, 황제나 치우를 역사적 실존인물로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먀오족은 구려족의 후예라고 하며 치우를 민족의 조상으로 추앙한다. 한국의 일부 야사에서는 치우씨(蚩尤氏), 치우천왕(蚩尤天王) 등으로 부르며 치우 또는 그 부족이 한민족에 속했다고 주장하지만, 학계에서는 역사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문헌

   치우에 대한 기록은 《사기》, 《국어》, 《산해경》,《상서》 등 춘추·전국시대 이후의 여러 서적을 통하여 전하여지지만, 모든 기록이 일치하지는 않는다.


《산해경(山海經)》

산해경》〈해경〉에 치우와 황제(黃帝)가 서로 힘을 겨룬 내용이 단편적으로 적혀 있다.


   치우가 무기를 만들어 황제를 치자 황제가 이에 응룡으로 하여금 기주야에서 그를 공격하게 하였다. 응룡이 물을 모아 둔 것을 치우가 풍백과 우사에게 부탁하여 폭풍우로 거침없이 쏟아지게 했다. 황제가 이에 천녀인 발을 내려 보내니 비가 그쳤고 마침내 치우를 죽였다. 발이 다시 하늘로 올라갈 수 없게 되자 그가 머무는 곳에서는 비가 내리지 않았다. - 〈대황북경〉


치우가 버린 차꼬와 수갑이 단풍나무(楓木)가 되었다고 한다. - 〈대황남경〉


관련 문화

중국

   치우는 전쟁의 신으로 모셔졌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유방항우와의 마지막 전투 전에 치우에게 제사를 지냈고, 그 전투에서 이겼다고 한다. 동양 천문에는 특이한 형태의 혜성이 '치우기(蚩尤旗)'라는 이름으로 분류되어 있다. 한나라 시대의 무덤인 마왕퇴에서 치우기를 묘사한 백서가 발굴되었다.


한국

옛 제례와 풍습

   한국의 옛 기록에는 치우와 관련된 제례나 풍습이 전해진다. 이는 모두 중국의 예법에 정해진 제례를 받아들여 제사한 것이다.


둑제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군영을 대표하는 대장기로서 치우의 형태라고 전해지는 ‘둑’이라는 깃발을 둑소에 두고 매년 갑옷을 입고 제를 지냈다.


마제 - 강무(講武)시에 치우에게 제를 지내는 것으로, 조선 세종 이후 주나라의 제도를 본따 실시하였다.

천중부적 - 단오날에는 치우를 이용하여 악귀를 쫓는 부적을 그리기도 했다.


야사

조선 후기 이후로 저술된 야사에서는 치우를 한민족의 일부로 서술하였다.


규원사화》 - '치우씨(蚩尤氏)'라 불리며, 환웅의 부하로 일족을 이끌고 환웅과 단군에 협력하였던 부족 및 부족장으로 풀이된다. 치우씨는 환웅의 명령에 따라 집을 만들고 방어와 병기 제작을 맡았고, 신농의 말기에는 중국 본토에서 천왕이 되었으며, 단군조선 시대에는 고조선의 서남쪽인 남국에 봉(封)하여졌고, 단군조선 말기에는 제후들과 함께 중국 본토로 진출, 여러 나라를 세워 그들과 섞여 살게 되었다고 서술되었다.


환단고기》 - 치우는 배달국의 제14대 환웅인 자오지환웅으로 나온다. 중국의 역사서나 신화의 내용과 반대로《환단고기》의 치우는 헌원(軒轅)에게 이겼다고 한다.


기타

붉은악마의 트레이드마크 도안으로 쓰이고 있으며, 2002년 축구 월드컵 때 유명해졌다. 이우혁은 치우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 치우천왕기를 쓰고 있다.  - 위키


출처 : 이파랑
글쓴이 : 이파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