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다음카페-잃어버린 역사... 글쓴이: 心濟 http://cafe.daum.net/dobulwonin/GBuW/346
터키(突厥ㆍ돌궐)와 한국 터키는 한자로 突厥(돌궐)이라고 표기한다. 몽골과 함께 중국에서 匈奴(흉노)라 칭하던 민족의 하나로, 6세기중엽부터 8세기 중엽까지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약했다. 우리 한민족과 같은 우랄 알타이어족이다. 고구려 전성기엔 글안, 여진(숙신)과 마찬가지로 일부는 고구려의 基層(기층)민중에 속했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대부분의 서민들은 초기엔 唐(당), 후엔 신라의 지배를 받으면서 요서,한반도에서 살아갔으나, 귀족계급 등 중상류층 가운데 일부는 唐에 포로로 잡혀갔으며, 일부는 몽골, 글안, 돌궐등 타민족에 섞여 살다가 682년 동돌궐이 올란바토르 (현 몽고의 수도)에 「돌궐 제2제국」을 수립할 때, 여기에 참여했다. 그 숫자는 전 인구의 절반인 20만명이 넘었다는 설도 있다.
돌궐 제2제국의 單于는 고구려 遺民을 우대하여, 고구려 왕족의 일원이며 遺民의 수장인 高文簡(고문간)을 高麗王(고려왕)으로 봉했다. 왕은 둘 밖에 없는 것이 돌궐의 전통이었으나, 고구려 유민의 숫자가 너무 많으니까 이들을 통치하기쉽도록 王을 한명 더 늘려 고구려인을 앉힌 것이다. 고조선 시대 샤머니즘의 首長 호칭이 「단군」이었다는 설을 인정한다면 아마도 같은 계통의 단어가아닐까 싶다. 고대 터키어로 기록된 돌궐 碑文(비문)이 몽골 오르혼江, 남시베리아 예니세이江 상류 및 서북 몽골지방에 세워져 있다.
(특히 오르혼 江 비문은 1893년 덴마크의 언어학자 톰센이 현대 터어키어로 해독을 함으로써 터키의기원에 대한 수많은 논쟁을 종식시켰다.
터키의 역사첵 가운데 고대사 부분을 보면 흉노와 돌궐족을 설명하는데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자신들의 조상이 흉노, 돌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만약 碑文이 발견되지 않았거나 제대로 해석되지 않았다면 많은 터키인들은 자신들의 조상이 현재의터키에서 수천리 떨어진 몽골고원에서 살았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사라센은 이슬람교 창시자 모하메트의 후계자가 중동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이베리아 반도에 걸쳐 이룩한 대제국이었다. 용병에 불과했던 돌궐은 11세기 무렵, 사라센제국을 멸망시키고 셀주크투르크 제국을 건설했다. 징기스칸의 몽골에 패해 그들의 지배를 받던 투르크는 13세기 말, 다시 오스만투르크를 세워 20세기초반까지 7세기를 이어오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국민혁명으로 멸망했다. 동서양에 걸쳐 광대한 영토를 갖고 있던 터키는 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편을 들다 독일이 패하는 바람에 많은 영토를 잃고 오늘날의 소국으로 전락했다.
그래서 6ㆍ25때 북괴가 남침하자, 아시아에서는 가장 먼저, 미국, 영국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군대(1만4936명, 전사 721명, 부상2147명)를 파견해 우리를 도왔던 것이다. 파병이 늦어지자, 터키의 고등학생들이 『왜 형제의 나라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느냐』면서 데모를 벌였다는 말이 있다. 7세기 때부터 문자를갖고 있는 그들은 역사를 통해 터키와 한민족과의 관계를 잘 알고 있었다는 반증이다.
옛 터키어를 연구하면 잃어버린 우리의 과거 역사도 일부 그 속에서 찾아 낼 수 있으리라는 것이 필자의 견해다.
趙南俊 월간조선 이사 |
'최초의 나라 한(환)국 > 상고사,홍산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사람이 말하는 단군의실존 (0) | 2009.05.19 |
---|---|
하남성 평정산 應國 묘지 출토 도자기 명문 (0) | 2009.05.14 |
홍산문화 : “이제는 알타이語族이 아니라 홍산語族이다” (0) | 2009.05.06 |
환인, 환웅은 중국 조상인가? 한국의 조상인가? (0) | 2009.05.01 |
은나라 (0) | 200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