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 사리봉안기는 잘못 번역되었다.
동국대 역사학과 김상현 교수의 사리봉안기 해설은 사리봉안기의 본문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류 번역했습니다.
동국대 사학과 김상현 교수의 오류된 번역문
▲ 동국대 김상현 교수의 오류 번역된 사리봉안기 본문
▲ 미륵사지 석탑에서 발견된 금제 사리호와 명문이 적힌 금제 사리봉안기,
金制舍利奉安記[금제사리봉안기] | |
(앞면) |
(뒷면) |
竊以法王出世隨機赴 |
年正月卄九日奉迎舍利 |
금제사리봉안기(金制舍利奉安記)는 백제 왕후의 친필발원문이라 사료된다. |
익산의 미륵사(彌勒寺)는
왕궁사(王宮寺)이며, 백제 도읍 예정지가 틀림없다.
부여문화재연구소는 2003년 12월 15일부터 300일에 걸쳐 발굴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백제시대 왕궁 형태의
궁성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즉 백제는 궁성을 창건하기 위한 건물지를 축조하고 기반을 다진 석축과 계단 역할을 하는 월대, 건물과 건물 사이에
자리한 후원, 뒷간이 있었던 자리가 세세하게 드러났다.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제408호)은 백제 제30대 무왕(武王, A.D. 600-641)대에 조성된 궁성 유적으로, 남북
길이 490여 m, 동서 너비 240여 m에 이르는 장방형 궁궐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1989년부터 현재까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연차 발굴 조사를 진행, 백제시대의 궁궐 담장(宮墻) 및 축대
(石築), 대형 화장실, 정원(庭園), 와적기단(瓦積基壇) 건물지, 공방지(工房址) 등 궁성 관련 유구와 또, 왕궁사
(王宮寺),및 대관관사(大官官寺) 명(銘) 명문와(銘文瓦), 수부(首府)명 인장와, 연화문 와당, 금제 영락(瓔珞),
유리 구슬, 뒤처리용 나무 막대, 각종 토기 및 중국제 청자편 등 모두 3천 여 점의 중요 유물이 출토됐다.
1, 일본왕이 ‘백제 법왕(法王)에게 은밀이 보낸
‘지모밀지(枳慕蜜地)에 따라 익산에 왕궁사(王宮寺)가 창건되었다.
1965년, 부여문화재연구소가 왕궁리 오층석탑 해체 수리 때 발견된 사리함과
1971년, 일본에서 발견된 관세음응험기(觀世音應驗記)와 비문 내용이 꼭 같았다.
일본에서 발견된 ‘관세음응험기’의 기록에 따르면, 정관 13년(A.D.639) 기해년 겨울 11월에 벼락이 떨어져
제석정사에 불이 났다" 또 ‘지모밀지(枳慕蜜地)’에 천도(遷都)하라’ 는 대목이 나온다.
즉 지모밀지란 무엇인가?
백제가 멸망에 이를 징조가 있자 일본의 백제왕이 대륙 백제왕에게 은밀이 보낸 밀지(密旨)를 뜻한다.
곧 익산 왕궁리 왕궁터는 [일본의 백제왕]이 대륙 백제의 법왕에게 보낸 ‘지모밀지(枳慕蜜地)’에 따라서 무왕이
도읍지로 정하려 했던 백제 왕궁 예정지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결코 백제는 한반도 속의 익산에 왕도로 옮기지 못하고 멸망에 이른다.
익산 왕궁리의 왕궁터에서 뱔견된 왕궁사(王宮寺),및 대관관사(大官官寺)의 명문(銘文)과 같이 전북 금마면 익산의
미륵사(彌勒寺)가 아니고 왕궁사(王宮寺),및 대관관사(大官官寺’가 틀림없다.
그리고 왕궁리 5층석탑(국보 제289호) 주변에서 금당지, 강당지 등 통일신라시대 사찰 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지모밀지(枳慕蜜地)는 [일본의 백제왕]이 대륙 백제의 제29대 법왕에게 보낸 밀지(密旨)라 사료된다.
백제 제30대 무왕(武王)은 법왕의 아들이며, 이름은 장(璋:扶餘璋(부여장)이며, 어릴 때 이름은 서동(薯童)이며,
도량이 크고 재주가 뛰어났다.
즉 일본 백제왕이 대륙 백제 법왕(法王)에게 보낸 지모밀지(枳慕蜜地)에서 신라의 帝釋宮(제석궁)에 벼락이 떨어져
불이났으니 혼란한 틈을 이용하라, 서동(薯童)은 인물이 준수하고, 지기(志氣)가 영특하니 머리를 깎고 스님으로
변장해서 신라의 경도로 들어가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善花) 공주와 은밀이 정을 통하여 진평왕의 사위가
되어 신라 영토를 장악하라. 는 지모밀지(枳慕蜜地)라 사료된다.
[2], 백제 무왕은 신라 진평왕의 사위이며,
백제 왕후는 신라 선덕여왕과 형제간이 된다.
[삼국유사 무왕(武王)]
고본(古本)에는 무강(武康)이라고 했으나 잘못이다.
백제에는 무강武康이 없다) 백제 제30대 무왕(武王)의 이름은 장(璋:扶餘璋(부여장)이다.
그 어머니는 과부(寡婦)가 되어 서울 남쪽 못가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못 속의 용(龍)과 관계하여 장을 낳았던
것이다.
어릴 때 이름은 서동(薯童)이며, 재주와 도량이 커서 헤아리기 어려웠다.
항상 마[薯여]를 캐다가 파는 것으로 생업(生業)을 삼았으므로 사람들이 이름을 서동이라고 불렀다.
서동(薯童)은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셋째공주 선화(善花; 혹은 선화善化)가 뛰어나게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는
머리를 깎고 신라의 경도(서울)로 가서 마을 아이들에게 마를 주어 먹이니 곧 아이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었다.
이에 동요를 지어 아이들을 꾀어서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그 동요의 가사는 이러하다.
선화공주(善化公主)는 서동(薯童)과 정을 통하고
밤에는 남몰래 서동방(薯童房)에 찾아가 깨안고 잠자네...
동요(童謠)가 신라 서울에 가득 퍼져서 신라 대궐 안에까지 들리자 백관(百官)들이 임금에게 극력 간해서
선화공주를 먼 곳(한반도 속의 익산)으로 귀양 보내게 하였다.
선화공주는 장차 떠나려 하는 데 진평왕의 왕후(王后)는 순금(純金) 한 말을 주어 노자로 쓰게 했다.
선화공주가 장차 귀양지(익산)에 도착하려는데 도중에 백제의 서동(무왕)이 나와 공주에게 공손히 절하면서 모시고
가겠다고 했다.
선화공주는 그가 어디서 왔는지는 알지 못했지만 그저 인연으로 믿고 좋아하니 서동을 따라가면서 공주는 비밀히
정을 통했다.
그런 뒤에 서동의 이름을 알았고, 동요가 맞는 것도 알았다.
함께 [한반도 속의 익산으로] 와서 모후(母后)가 준 금을 꺼내 놓고 살아 나갈 계획을 의논하자 서동이 크게 웃으며
말했다. "이게 무엇이오?" 공주가 말했다. "이것은 황금이요 이금을 가지면 백 년의 부를 누릴 것입니다."
"나는 어릴 때부터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을 흙덩이처럼 쌓아 두었소.
" 공주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놀라면서 말했다.
"그 금은 천하의 가장 큰 보배이니 그대는 지금 그 금이 있는 곳을 아시면 우리 부모님이 계신 대궐로 보내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좋소이다." 이에 금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의 지명법사
(知命法師)에게 가서 이 금을 실어 보낼 방법을 물으니 법사가 말하기를 "내가 신통(神通)한 힘으로 보낼 터이니
금을 이리로 가져오시오." 이리하여 공주가 부모에게 보내는 편지와 함께 사자사(師子寺) 앞에 금을 갖다 놓았다.
지명법사의 신통력으로 하룻밤 사이에 그 금을 신라 궁중으로 보내자 선화(善花) 공주는 그 신비스러운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서동을 존경하게 되었다. 또한 선화공주는 신라 진평왕에게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은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서 드디어 백제 왕위에 올랐다.
어느 날 무왕(서동)이 부인과 함께 [신라의] 사자사에 가려고 용화산(龍華山) 밑 큰 못 가에 이르자 미륵삼존
(彌勒三尊)이 못 가운데서 나타나므로 수레를 멈추고 절을 했다.
부인이 무왕에게 말하기를 "모름지기 여기에 큰 절을 지어 주십시오. 그것이 제 소원입니다."
왕은 부인의 말을 허락했다.
곧 지명법사에게 가서 못을 메울 일을 물으니 신통력으로 하룻밤 사이에 산을 헐어 못을 메워 평지를 만들었다.
여기에 미륵삼존상(像)을 만들고 전각(殿閣)과 탑(塔)과 낭무(廊廡)를 각각 세 곳에 세우고 절 이름을 미륵사
(彌勒寺; 삼국사기에서는 왕흥사王興寺라고 했다)라 했다.
신라 진평왕이 여러 공인(工人)들을 보내서 그 역사를 도왔는데 그 절은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는 이 분을 법왕(法王)의 아들이라고 했는데, 여기에서는 과부의 아들이라고 했으니 자세히 알 수
없다). 끝.
백제왕후는 대륙 백제가 멸망의 징후가 나타나자 한반도 속의 익산에 왕흥사를 창건하여 불도의 위신력으로 나라를
영구히 보전하고자 사리와 함께 친필 사리봉안기를 넣었다.
무왕은 41년 재위기간 동안 신라 영토를 빼앗기 위해 빈번히 신라를 침략하였다.
서기 630년 사비궁(宮:중국 사천성)을 중수(重修)하고 634년에는 왕궁남쪽에 인공 섬을 만들었다.
또 무왕은 재위 후반기에 현재 한반도 속의 익산지역에 도읍지로 옮기기 위해 총면적 1338만4699㎡
(약 404만8870평)에 이르는 거대한 왕궁평성(王宮坪城)을 건설하고 왕궁사(王宮寺: 현 미륵사)를 창건했던 것이다.
한반도 땅은 본래 신라의 영토이다.
근세에 충남 부여의 왕흥사 터에서 발굴된 사리기(舍利器),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 등이 발굴되자 조국을 배신했던
민족 반역자 이병도를 추종하는 세력들이 마치 백제가 한반도 속에서 건국되었던 것처럼 입증하려고 잇따라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땅은 본래 신라의 영토이었으나 4세기 중반 이후부터 백제의 영토가 된다.
근세에 발굴된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와 충남 부여의 백제 왕흥사 터에서 발굴된 사리기(舍利器), 전북 익산
왕궁리유적 등이 입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기 668년 신라의 문무왕이 3국을 통일한 후 한반도는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된다.
1979년 2월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에서 발견된 국내 유일한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본서 227페이지참조)에서
고구려와 신라는 형제국(여형여제'(如兄如弟)으로서 신라 영토내(新羅土內)의 각성에 가득 찬 왜병을 광개토대왕과
관병이 도착하자 왜병이 황급히 달아나는 왜적 등 뒤까지 바짝 추격하여 [일본의] 任那加羅(임나가라)까지 쫓아가
城(성)을 拔本(발본) 索出(색출)하여 즉시 항복시키었다.
長壽弘濟好太烈帝(장수홍제호열제)는 연호를 建興(건흥)이라하고 仁義(인의)로서 나라를 다스려 먼 곳까지
개척하여 강역은 점점 넓어져 熊津江(웅진강) 북쪽은 고구려에 소속시켜 굳게 지켰다.
신유(辛酉 421년)은 장수왕 9년이며, 신라의 눌지왕 5년이다.
따라서 [중원고구려비]는 신라 영토내의 각성에 가득 찬 왜적을 물리쳐 주신 광개토대왕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장수왕 9년 신유(辛酉 421)년에 신라 눌지왕(訥祗王)이 광개토호태왕의 은공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비석이었다.
백제왕후는 한반도 속의 전북 익산에 왕궁사(王宮寺)를 건립하고, 금제사리봉안(金制舍利奉安)하여 부차님의
위신력으로 백제 700년의 유구한 역사의 전통을 잘 계승 할 수 있도록 기원하며, 간절한 발원에도 불구하고 백제는
700년을 넘기지 못하고 결국 663년에 멸망하고 말았다.
진한의 법도를 계승한 신라는 불교를 숭상하며, 여호와 옥황상제에게 제사를 주제한 제사장(祭司長)의 나라로서
임금은 모두 다 어질고 백성들 또한 어질어 대문을 닫지 않아도 도적이 없었으며, “동방예의지국”이라 칭했습니다.
또한 신라는 누예치기를 장례하여 백성들은 부유하여 비단옷을 입었으며, 국력은 막강했으나 남의 나라를 침범하지
않아 군자국(君子國)이라 칭했습니다.
천제(天際)를 주제한 제사장이며, 군자국의 신라를 자주 침범하여 신라 영토를 강탈한 백제는 백제왕후가 부처님의
위신력을 발원한들 어찌 인과응보로 멸망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현세 한 종교를 신앙하는 종교인들은 도저히 납득 할 수 없겠으나 신라의 진평왕(579~632년)은 불교를 숭상했으나
천국(天國)의 여호와 옥황상제님이 하사하신 천사옥대(허리띠)를 선녀(仙女)로부터 받았습니다.
따라서 현세의 종교인들은 석가세존을 공경하고, 여호와 옥황상제를 숭배해야 바른 신앙이 될 것이다.
감사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퍼왔습니다.
전북 익산 미륵사지석탑 해체보수 과정에서 발견된 유물들.
① 금제사리봉안기. 가로 15.5cm, 세로 10.5cm의 금판에 음각하고 붉은 칠을 했다.
②원형 합 ③백제의 머리꽂이 장식인 은제관식과 금제소형판.
익산 미륵사지 西塔 6층으로 복원 유력

'최초의 나라 한(환)국 > 사국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韓(삼한)은 무릇 78국이 있었다. (0) | 2009.05.02 |
---|---|
마한,진한,변한의 삼한은 한반도에 건국되지 않았다. (0) | 2009.05.02 |
백제가 대동강 평양에 건국했던 증거 17개. (0) | 2009.04.28 |
부여의 나라, 일본 [김운회의 '새로 쓰는 한일고대사'] (0) | 2009.04.26 |
신라엔 왜 금속화폐가 없었을까? <박노자> (0) | 2009.04.26 |